top of page

10권 2호_ 이기동_북한의 권력구조 진단과 변화 전망

2006년 10권 2호. 북한의 권력구조 진단과 변화 전망 _ 이기동


초록 보기

This essay examined the structure of the North Korean power hierachy and showed the prospects for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its change. In short, the power structure is stable, factors backing it up are changing, keeping pac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s and conditions within and without. North Korea will likely continue to adjust the structure of its power hierachy in a way to counter the chang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and conditions,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successin system. It will also likely push ahead with the adjustment of the rulingidelogy and the reconstruction and realignment of the party organizations in the context of the succession system. The nuclear issue will serve as an important variable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power structure. It will be so because the period for a solution to the nuclear issue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succession system will run parallel. The nuclear issue will also have to affect its ruling ideology, internal and external policies and succession scenario. In other words, the nuclear issue is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questions regarding the durability of the military-first ideology, programs for reform and opening, and exposure of North Korea`s succession plot, if any.


첨부 [1]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