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1권 1호_ 김상준_동아시아 경제지역주의와 미국의 변화

2007년 11권 1호. 동아시아 경제지역주의와 미국의 변화 _ 김상준


초록 보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verse patterns of U.S. strategy toward East Asian economic regionalism. Possibly the primary interest of the U.S. interest would be a non-isolation in the emerging East Asian community. But, the U.S. intervention in the region was not monotonous. This study elucidates the differentiated practices of the U.S interventions under the diverse circumstances. We raise four different types of the U.S. policies; two positive policies of ``constructively cooperating`` and ``spoiling,`` and two negative policies of ``check-and-balancing`` and ``wait-and-seeing.`` It examines some crucial cases of the U.S. interventions: EAEC/EAEG., ASEAN+3, EAS; AMF, and post-AMF financial institutions. The U.S. spoiled the attempts of EAEC/EAEG without the U.S. But, in the case of ASEAN+3, it employed the policy of wait-and-seeing because of its relatively sluggish progress. But when it comes to EAS, the U.S. tended to utilize check-and- balancing due to its fear of potential China-centered regionalism. The U.S. also spoiled the design of AMF because it was a proposal to build Japan-centered Asian financial system. It returned to the policy of wait-and-seeing in Manila Framework and Chiang Mai Initiative as those were corresponding with the IMF-based global financial structure.




첨부 [1]

134. 2007년11권1호_동아시아경제지역주의와미국의변화_김상준
.pdf
Download PDF • 1.12M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