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2권 1호_ 신동천 외_통일비용과 남북협력기금

2008년 12권 1호. 통일비용과 남북협력기금 _ 신동천 외



초록 보기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stimate an optimal size of the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The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was establish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support the cooper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on the purpose of the reduction of tension and the peaceful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German unification experience, we learned that the unification cost was too costly to the German people. The German government spent 5% of GDP annually for 10 years after unification in order to reduce the economic gap between the East and West Germany. Currently the North Korean economic situation gets much worse than that of the former East Germany. If the unification is achieved under the current situation, the South Korea will face unbearable economic burden. Therefo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increase the size of the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in order to mitigate costly unification cost in the future. In consideration of the German experience, we suggest that the optimal annual accumulation of the Fund be 3% of GDP.


첨부 [1]

142. 2008년12권1호_통일비용과남북협력기금_신동천외
.pdf
Download PDF • 1.67M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