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3권 1호_ 배종렬_ 북한의 최근 식량 및 경제위기와 체제변화 가능성

2009년 13권 1호. 북한의 최근 식량 및 경제위기와 체제변화 가능성 _ 배종렬


초록 보기

From 1994 to 1998, 2-3 million people died of starvation and hunger-related illnesses, and famine has generated a range of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effects. Also, the North Korean government requested international assistance for the first time in its history in the fall of 1995. Recently, North Korea experienced the second food crisis and economic decline. This article analyzes its characteristics, the central government`s response to it, and the reaction to the government`s inability to stem the steady collapse of the old system, as well as its effects on the openness and reform of the North Korean Economic system. Comparing the two food crisis and economic decline, there are several points of difference. They are: 1) the causes of the food shortage and economic decline; 2) the domestic and foreign economic situations at that time; 3) the feasible economic resources home and abroad; 4)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on the market economy. However,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was a negative effect of the ``Military-first Economic Construction Strategy`` on the openness and reform-oriented aspects of the North Korean economy.

첨부 [1]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Commentaire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