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5권 2호_강혜련_폴란드의 포퓰리즘 정치: 민족주의적 수사학의 대중적 동원력과 그 한계

2011년 15권 2호. 폴란드의 포퓰리즘 정치: 민족주의적 수사학의 대중적 동원력과 그 한계_강혜련


초록 보기

이 연구는 전환과정에서 포퓰리즘이라는 한 국면을 넘고있는 동유럽 상황을 폴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2005년 선거에서 포퓰리즘 세력의 승리를 정점으로, 이어지는 2년의 기간은 폴란드 정치의 포퓰리즘 국면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포퓰리즘 국면은 포퓰리즘 정당과 운동의 등장을 주요한 계기로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들이 주는 타격을 기존 정치권이 수용하지 못하고 대중적인 반정치의 정서에 의거한 세력이 정치의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조성되었다. 폴란드의 경우 포스트공산주의적인 좌파세력이 2000년대 들어 일정부분 퇴조하면서 전체적으로 우파성향의 세력들이 중심으로 위치지어지게 되었고, 포퓰리즘과 민족주의의 결합, 그리고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 노선의 강화 등이 정치의 전반적 주류로 들어서게 되었다. 포퓰리즘 세력만이 아니라 거의 모든 정치세력들에게 이 부분은 찬과 반의 입장에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포퓰리즘 세력은 그 원천에서 급진적, 우파적이며 마찬가지로 민족주의적 색채를 띠고 있다. 폴란드의 경우 반부패, 반기득권, 법제주의와 절차적 민주주의에 대한 반론, 소수자에 대한 무시, 대외관계에서 민족적, 국가적 이익의 강조 등을 중심적으로 내세운다. 결국 포퓰리즘 세력은 제도적 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국민적 의사를 대변하겠다는 의지에도 불구하고 그 실현에 실패하며 시민강령당을 중심으로 한 자유주의적 중도우파 세력에 정부의 구성을 넘겨주게 되었다. 시민강령당은 정당 자체의 발전과정에서 초기에는 일부 포퓰리즘적 성향도 보였으나 경제사회정책을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정책실행에서 신중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극단적이기 보다는 온건한 정치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급격한 변동의 와중에 있던 폴란드의 정치는 일정정도 안정적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In this study, the author is investigating one phase of Eastern European transformation, that of the populist,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case of Poland. The two-year period beginning from the 2005 election, in which populist forces won and were at the peak of their popularity, can be defined as the populist phase of Polish politics. While the populist phase was triggered by emerging populist parties and movements, as a whole it was actually created since their blow was not acceptable in the established political structure and, therefore, the forces entered politics, based on popular feelings of anti-politics. In the case of Poland, the post-communist left-wing declined in the 2000s, and following that, the right-wing grasped the core of politics. As a result, the phenomena of the combination of populism and nationalism, and the strengthening of illiberal democracy, became visible in mainstream politics. Almost all political forces, not just the populist forces, underwent this influence respectively in positive or negative terms. Current populism is tinged with radical, right-wing ideologies at its core, as well as nationalist sentiments. Populism in Poland is characterized by the banner of being anti-corruption and anti-establishment; challenges constitutionalism and procedural democracy; disregards the minority; and emphasizes ethnic, national interests in foreign relations. In spite of its willingness to represent directly the interests of the people rather than through institutional arrangements, its realization failed; as a result, the formation of the government began to hand itself over to liberal and moderate center-right forces around the Civic Platform. In the development of the party itself, the Civic Platform initially showed a populist orientation in some degree, but in general, it is evaluated as being cautious in the implementation of policy, including economic and social policy. According to the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oderate rather than extreme political forces, Polish politics caught up in radical changes may become more or less stable.


첨부 [1]

177. 06강혜련
.pdf
Download PDF • 898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