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6권 1호_유시은_널모형에 의한 북한이탈주민의 고용 결정요인

초록 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패널 모형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패널 조사에 모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은 106명이며 고정효과모형과 확룔효과모형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인 요인은 성별, 연령, 당원 경험, 자격증 취득, 이직 경험, 남한 언어이해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고용율이 증가하였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당원 경험이 있을수록, 자격증을 취득할수록, 이직 경험이 있을수록, 남한 언어이해력이 증가할수록 고용이 증가하였다. 반면, 북한이탈주민이 고령화될수록, 남한 정규교육 경험을 할수록, 직업교육을 받을수록, 우울경향이 높을수록, 제3국 외상경험이 많을수록 고용율이 감소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전략을 제언하였다.

Objective. In this study we sought to determine factors predicting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as a proxy for economic integration. Method. We conducted a panel survey with an initial sample size of 200 North Korean refugees who completed a government-sponsored training program in South Korea between October 1999 and March 2001, and repeated the survey measures with the same initial cohort in 2004 and 2007, for a sample size of 106 subjects who completed all three survey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positive factors influencing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were sex, age, experience in the communist party, acquisition of certificate, experience of unemployment, and linguistic understanding of the South Korean language. The employment rate of North Korean male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females.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employment were higher age, experience of regular South Korean education, experience of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the trauma of defection. Conclusion. Given the panel of dat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multiple programmatic avenues that can be taken in the post-migration context in order to facilitate the economic integration of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첨부 [1]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