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7권 1호_정일영_공장관리체제를 통해 본 북한사회의 변화

2013년 17권 1호.공장관리체제를 통해 본 북한사회의 변화_정일영


초록 보기


이 연구는 1990년대 전후 북한의 공장관리체제를 통해 북한사회의 변화상을 분석한다. 특히 공장 행위자간 관계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미시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변화의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한다. 당의 지배를 구현한 폐쇄적 공장관리체제라 할 수 있는 ``대안의 사업체계``는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물자공급의 위축과 배급의 단절로 변화를 겪게 된다. 경제위기에 따른 행위자간의 변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위기로 인하여 전일적 당의 지배에 기반한 수직적 통제구조는 대리인의 문제로 인해 약화된 반면 공장단위의 자기결정권은 강화되었다. 결국 공장당위원회의 책임자인 당비서의 정치적 통제력은 상대적으로 약화된 반면 당비서와 지배인의 공생적 관계가 형성된다. 둘째, 국가공급의 부족과 공장 가동의 중단은 노동자의 공장 이탈을 가져왔다. 노동자의 시장진출로 노동자-당비서, 노동자-지배인의 관계는 경제적 이익에 기반한 후견관계로 변화하게 된다. 노동자는 당비서와 지배인에게 다양한 형태의 뇌물을 공여하고 시장에 진출함으로써 이들과 또 다른 형태의 공생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국가가 시장을 인정한 상황에서 정보와 상업능력의 차이는 수입의 격차를 가져왔다. 부족경제 아래 심화되고 있는 빈부의 격차는 북한 사회의 가장 큰 불안요소라 할 수 있다. This essay addresses how North Korea`s industrial management system changed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the 1990s. Since that crisis, the North Korean people have created their own economic space, the unofficial market. Before the crisis, the party committee secretary, who organizes all political activities in each of the factory party cells and attempts to ensure loyalty to the party`s production targets and management goals, had controlled other actors in the Taean industrial management system (Taean System). Following the economic crisis, however, each actor has pursued his or her own economic gains in the face of deficiencies in supply. At a personal level, most workers enter the unofficial market for survival, while other actors pursue economic gains from workers through bribes or shady transactions. At a factory level, actors depend on each other to maintain production capacity. In this situation, economic officials have received greater responsibility in areas where their expertise can contribute the most.

첨부 [1]


185. 1_정일영
.pdf
Download PDF • 828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