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7권 1호. 북한 엘리트 연구 실태조사_최순미
초록 보기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북한 엘리트 연구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로 지금까지의 북한 엘리트 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북한 엘리트 연구의 실태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북한 엘리트 연구의 가장 큰 목적은 폐쇄된 북한 엘리트의 실체에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접근하여 북한 엘리트의 변화와 더 나아가 북한의 향후 변화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국내 연구 경향과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해 나갈 필요성이 요구된다. 연구 결과, 첫째, 1970년대-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를 거치면서 북한 엘리트 연구가 양적, 질적으로 증가하였다는 점, 둘째, 북한 엘리트 연구는 북한의 정치사회적 변화를 반영해왔다는 점, 셋째, 북한 엘리트 출신의 북한이탈주민 연구자의 등장 등의 성과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점들도 지적되었다. 이에 향후 북한 엘리트 연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 북한에 대한 정확한 이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엘리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 North Korean elite conducted in South Korea.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such research published up to the present tim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actual conditions surrounding this field of research. To this end,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he primary purpose of research on the North Korean elite is to approach closer to the truth about this closed group of high-ranking North Koreans, allowing us to understand the present and future course of North Korea and its elite class.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endencies, conditions, and problems in domestic research in order to correct areas that need improvement.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North Korean elite has improv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roughout the 1970`s, 1980`s, 1990`s, and 2000`s; second, such research has reflected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North Korea; third, there have emerged researchers who are also North Korean defectors and former members of the North Korean elite. Nevertheless, various problems were pointed out by expe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ote efforts toward increasing the accuracy of research on the North Korean elite, understanding North Korea more precisely and approaching this research topic from various fields.
첨부 [1]
Commen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