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권 1호_정병일_초기북한국가건설에 미친 만주파와 연안파의 영향력 비교 연구

2016년 20권 1호, 초기북한국가건설에 미친 만주파와 연안파의 영향력 비교 연구_정병일


초록 보기

연구의 목적은 초기북한국가건설에 미친 만주파와 연안파의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었다. 기존연구들 대부분은 김일성의 북한으로 규정한 상태에서 북한국가성격과 권력구조형성을 연역적으로 추적하는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즉 ‘김일성’이 곧 ‘북한’ 이라는 등식을 뛰어넘지 못하는 한계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경향은 보수와 진보의 이데올로기 편차, 다양한 연구 성과의 차이에 따른 주제설정과 인식구조 및 접근방법론의 이견은 많지만 인식론 상으로는 소련=김일성=북한이라는 하나의 공통된 테두리 안에서 자리 잡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두 세력 간무장투쟁의 역사적.사실적 경험의 소산이 초기북한국가성립과정의 이념적인 성격을 규정하고 있다는 근거를 도출하기 위해 기존연구 중 필요부분을 바탕으로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연안파가 북한국가건설에 미친 영향이 재조명되었다는 점이다. 연안파의 활동은 북한의 초기국가건설에 많은 부분 발전적으로 개입하였음이 밝혀졌다. 비록 북한의 초기연합정권에 참여하면서 이들이 지향했던 민주통일국가성립을 목표로 한 정책노선이 1950년대말 종파사건으로 몰락하면서 수정될 수밖에 없었지만 연안파는 군중노선, 토지개혁, 그리고 계급투쟁에서 민족투쟁으로의 국가이데올로기의 변화정립 등 북한의 국가정책과 이념에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고 질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and analyzing influences of Manjupa and Yeonanpa affecting the initial construction of Country in North Korea. The most of previous studies have similarity to trac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as nation and forming power structure deductively, defining Kim Il-sung’s North Korea, That is, they have a limitation not overcoming that ‘Kim Il-sing’ is ‘North Korea’ Like this, in the trends of studies, there are plentiful of different opinions about setting themes, perception structures, and approaching methods according to differences of ideologies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the radical and differences in diverse research results. However, epistemologically, it is based on one common frame of “USSR=Kim Il-sung=North Korea.”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critically the previous literatures based on their necessary parts in order to deduce the bases that the legacy of historical and actual experiences of armed struggles between both parties defined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construction of Country in North Korea. The study result was that influence of Yeonanpa on building nation of North Korea was reviewed. Yeonanpa’s activities had intervened considerably developmentally the initial construction of Country in North Korea. Even though their policies aiming at he construction of National United Country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initial united government of North Korea fell down due to the Jongpa event in the late 1950’s and ha to be modified, Yeonanpa provided the theoretical frames to North Korea’s national policies and ideologies for crowd lines, land revolution, and changes of national ideology from class struggle to national struggle with qualitative influences.


첨부 [1]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