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1권 1호_최순미, 강동완_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와 적응 지원방안

21권 1호_최순미, 강동완_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와 적응 지원방안


초록 보기


본 연구는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실태와 이들의 정책적 욕구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상황을 제대로 알고 그 필요(needs)에 따른 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이들이 갖고 있는 심신의 문제를 회복하고 올바른 민주시민으로 잘 성장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남북한 사회통합에 보탬이 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조사방법은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 15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v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 교차분석의 카이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 응답자들이 현재 다니고 있는 교육기관의 형태는 인가된 대안학교가 가장 많았고, 한겨레중고등학교, 미인가 대안교육시설 순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이 겪고 있는 현재 생활의 어려움은 경제적 어려움이며, 그 다음으로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 정신적 어려움, 상담자 부재, 자살 생각, 주위 시선이나 차별, 숙식해결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 조사 결과, 학습 또는 진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멘토가 9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진로 탐색을 위한 체험(89.4%) > 입시 및 진학정보 제공(86.1%) > 봉사활동 기회 제공(84.1) > 직업교육 훈련(83.4%) 등 자신의 미래와 관련된 부분들이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법제도적 개선방안으로 비보호 북한이탈청소년에 대한 학교 의무화 교육 추진,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특화 교육: 하나원 과정 위탁 교육, 북한이탈청소년에게 적합한 경제적 지원, 정부 부처별 역할 분담 및 북한이탈청소년 지원 거버넌스 구축등을 제안하고, 맞춤형 사업 프로그램으로 학습역량 강화 지원, 심리/정서적 안녕을 위한 상담과 치유 프로그램 도입, 북한이탈청소년과 함께 하는 해외 봉사단,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통일문화 특화 체험캠프 등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urrent condi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and their political needs, and propose the corresponding support plan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ritical mind of which the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can recover psychosomatic problems, grow as correct democratic citizens and furthermore, contribute to the South-North social integration, when we correctly understand their current situations and the support is given in accordance with their need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s oriented to 153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The statistical processing counted on SPSS WIN 21.0v Program to carry ou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est and chi-square test of cross-tabu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as for the form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here the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the highest case turned out to be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followed by Hangyeore Middle and High School and unauthorized alternative educational institutions. Secondly, the current difficulties of life experienced by the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turned out to be economical problems, succeeded by the problems in the order of difficulty in adapting to a new environment, mental difficulty, absence of counselors, suicidal impulses, the surround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of food and lodging. Thirdly,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political needs of the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st need was with mentors who can guide learning and career orientation, recording 90.8%, followed by experience for career search (89.4%), provision of information regarding entrance to college and career orientation (86.1%), provision of volunteer work (84.1%) and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83.4%). Consequently,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s for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this study proposes school compulsory education promotion for unprotected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specialized education oriented to these adolescents, economical support appropriate to them, role sharing among government ministries and support governance establishment for them. In terms of customized project programs, this study proposes supports of learning competency enhancement, introduction of counseling and therapy program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verseas volunteer work team accompanied by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nd experience camp specialized in reunification culture oriented to these adolescents.


첨부 [1]

06. 179-217p_최순미, 강동완
.pdf
Download PDF • 595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