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4권 1호_문한필, 김영훈, 임채환_북한 농림축산물 비교우위 분석을 통한 남북농업협력 가능성 모색

24권 1호_문한필, 김영훈, 임채환_북한 농림축산물 비교우위 분석을 통한 남북농업협력 가능성 모색

초록(한국어)


대북제재가 해제되고, 한반도의 평화체제 전환과 함께 남북한 간 교류협력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경우, 북한의 식량문제와 경제여건, 정책방향 등을 감안할 때, 농업분야 협력이 우선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무역통계, 시장가격 자료 등을 활용하여 북한 농림축산물의 비교우위를 분석하였으며, 한반도 온난화, 남한의 농업인력 고령화, 남북한 축산기반 및 양분수지 불균형 등 향후 북한 농림축산물의 잠재적 비교우위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① 현재 비교우위를 기반으로 한 민간교역 대상품목, ② 중장기 비교우위를 기대할 수 있는 투자협력 대상품목, ③ 정부 주도의 선도적 농업협력 대상품목으로 구분하여 유형별 남북 농업협력사업의 가능성과 도전과제를 모색하였다.


초록(외국어)


I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re lifted and the peace era on the Korean peninsula becomes visible, cooper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is expected to be pursued first, given North Korea's food crisis, economic conditions, and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North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by using North Korea's trade statistics and market price data, and reviews the factors that could lead to potential comparative advantages of North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future, such as warming of the Korean peninsula, aging agricultural workers in South Korea, livestock structure and nutrient balances between the two Korea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we classified the agri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cooperated into ① private trade items based on the present comparative advantage, ② investment cooperation items that can expect the long-term comparative advantage, and ③ government-led leading agricultural cooperation items.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projects were explored along with the three item groups.

첨부 [1]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