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4권 1호_이동윤_국제환경의 변화와 한반도 통일: 동북아 주변4강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최종 수정일: 2020년 8월 11일


초록(영문)


When the both extremity system, led by U.S. and Soviet, broke down and post cold war came, international society, getting out of millitary and securitary antagonistic relationship, entered into new competitions, which focused on economy, technology and infomation. It was thought that peace and security within the international society were naturally accomplished with post cold war, but the endless internal wars and external disputes are occuring and the mutual competitions to secure economic profits were deepening. Especially, when the consecutive economic crisis arises in East Asia, the World Powers are entering into severe competitions in having an important effect of themselves on East Asia. U.S., based on powerful economic strength, are spreading its economic profits and effects, and china and Japan are carring out the strategic foreign policy in order to show their leading role. In the past, as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made by the ``Big Four``, regardless of the Korea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uldn`t be considered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Big Four`` In order to move up the unification of Korea, weakening their effect o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howing the independant diplomatic ability, we must overcome the economic difficulties with which our country is confronted and draw up the independant unification plan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s and cooperations between North-South Korea.



4권 1호_이동윤_국제환경의 변화와 한반도 통일 동북아 주변4강의 역학관
Download • 788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