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스트는 70개가 넘는 일본의 조총련 조선학교를 조명하며 이들 학교들이 일본과 한반도 사이의 갈등관계를 나타내는 유산이라고 보도했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일본 식민통치기 많은 한국인이 일본에 넘어갔고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도 70만명 정도 한국인은 일본에 머물기를 택했다고 설명한다. 이들은 20년 넘게 국적 없는 사람들로 지내다 1965년 한일 수교 후 일본은 국내 한국인이 남한의 국민이 될 수 있도록 인정했고 북한 주민이 되길 원한 사람들은 일본에서 북한 국민으로 인정 받지 못하고 조총련 조선학교에 입학한다. 조총련계 학교는 자신의 조상이 일본의 전쟁 노예로 일본에 끌려왔으며 6‧25 전쟁은 미국과 남한이 일으켰다고 가르친다. 일본은 조총련계 학교를 폐교하려고 시도해 왔으며 지금은 이 시도가 실현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언이다. 도쿄시가 조선학교에 대한 6만 3000불의 연간 지원을 중지하는 안을 추진 중이며 이 안에 일본 국민이 지지하는 상황이다. 조총련계 학생들도 어려움을 겪긴 마찬가지다. 수천명의 한국인이 일본의 시민권을 얻기 위해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을 포기하고 있으며, 조총련계 한 학교의 입학생은 600명으로 1960년대 후반 2300명을 기록했던 것보다 크게 줄었다.
(2013.06.15.)
Hozzászólás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