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13년 4월 9일
[WSJ] 개성 공단 제대로 털어내야
월스트리트 저널은 사설을 통해 개성공단이 김정은 정권을 연장시켜 왔다며 개성공단을 영원히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3년 3월 26일
[Foreign Policy] 김일성 부자 동상 파괴? “어리석은 전략”
포린폴리시는 한국 정부가 북한이 천안함 폭침이나 연평도 포격과 같은 도발을 할 시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동상을 파괴하겠다는 계획에 ‘어리석다’고 지적했다.
2013년 3월 22일
[Washington Post] 왜 중국은 북핵 이슈에 반응하지 않는가?
워싱턴 포스트는 중국이 북핵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이유를 조지 W.부시 전 대통령의 일화를 들어 설명한다.
2013년 3월 21일
[Bloomberg Businessweek]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 왜 북한에 갔는지 입을 열다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이 지난 1월 북한에 방문한 목적은 ‘인터넷의 힘’에 대한 좋은 인식을 북한에 전파하려는 이유였다고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가 밝혔다.
2013년 3월 21일
[ASAHI] 중국 북한인 송금 제한…허점은 여전히 존재
아사히 신문은 중국 정부가 북한 사람의 명의로 중국 은행을 통해 북한에 송금하지 못하게 했다고 전했다.
2013년 3월 21일
[Christian Science Monitor] 사이버 공격은 어떻게 북한의 ‘당연한’ 무기가 됐는가?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는 남한에서 발생한 해킹 사건을 언급하면서 북한이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해 무력 공세가 아닌 사이버 공격을 개시했다고 분석했다.
2013년 3월 16일
[New York Times] 핵으로 거래할 생각 없다는 북한
뉴욕 타임스는 최근 불거진 일련의 북핵 위기를 보도하며 북한이 앞으로도 핵을 포기 하지 않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2013년 3월 13일
[Washington Post] 희귀한 북한 버전 페이스북
워싱턴 포스트는 AP의 서울·평향 사무소 대표 Jean H.Lee의 소식을 인용해 북한에서도 자체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개발해 사용 중이라고 소개했다.
2013년 3월 13일
[South China Morning Post] 김정은이 숨긴 달러로 수세에 몰린 베이징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가 김정은의 비자금으로 추정되는 계좌를 발견했다고 보도한 국내 언론 기사와 관련, 북한을 더 이상 비호하지 말아야 한다는 중국 내 여론을 전달했다.
2013년 3월 12일
[Guardian] 로드먼의 방북이 북한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국제연구기관 ‘국제위기그룹(ICG)의 한반도 전문가 대니얼 핑크스톤은 지난 12일 가디언에 로드먼의 방북이 북한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거라 기고했다.
2013년 3월 1일
[Financial Times] 서구권 북한 여행객 증가
파이낸셜 타임스는 한반도가 북핵위기로 긴장 국면에 있는 상황에서도 방북 여행객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밝혔다.
2009년 5월 1일
[The New York Times] 김정은, “트럼프로부터 ‘훌륭한’ 편지 받아”
North Korea Says Kim Jong-un Received ‘Excellent’ Letter From Trump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이 마무리된 지 이틀 후,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훌륭한’ 편지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