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RESEARCH

Research

​통일학협동과정 연구활동

  본 통일학 협동과정의 석, 박사과정의 재학생 및 졸업생은 관련 연구활동에도 매진하고있다. 국내 주요 학술지에 통일, 북한관련 연구논문을 투고함으로써, 연구실적을 쌓아올리고 있다.

w.png

Research

1

김지은

1) 김지은. 2019. "분단 트라우마의 치유와 화해, 공동의 미래로서의 한반도 통일.『통일과평화』 11(1): 305-348.

w.png

Research

2

김차영

1) 김차영, 김명철. 2019.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 변화 방향성에 관한 연구 - 북한 학술지 『경제연구』 주제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연구』 23(2): 83-113.

w.png

Research

3

​박차오름

1) 박차오름, 부승찬. 2020. “중국의 사이버 안보전략과 북한에의 적용: 정체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0(1): 53-79.


2) 박차오름, 이화준, 김용호. 2019. “공식 관광 홈페이지를 통해 본 북한의 변화 가능성: 웨이백 머신(Wayback Machine)을 통한 콘텐츠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23(2): 199-231.


3) 차정미, 박차오름. 2019. “중국 ‘1개 중심 2개 기본점 원칙’의 인터넷 발전전략과 북한에의 적용.” 『아세아연구』 62(3): 277-311.

w.png

Research

3

전일구

1) 전일구. 2018. "북한 학교의 방과후활동 연구 : 김정은 집권 이후 교육신문(2012-17년)에 나타난 과외소조활동 분석을 중심으로.『통일과평화』 10(2): 241-288.

w.png

Research

4

조진수

1) 조진수, 김석향. 2019. "흥남철수작전의 재구성 : 아비규환과 질서정연 사이의 진실 재조명." 『사회과학연구』 27(1): 126-157.

2) 조진수. 2017. “북한에서의 학교체육을 통한 학생의 몸의 통제: 국가재건 시기(1953~1960년)를 중심으로.” 『문화와 정치』 4(3): 123-148.

w.png

Research

5

​정대진

1) 정대진. 2019. “통일교육법제 변화와 지방정부의 역할 -경기도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23(1): 95-124.


2) 정대진. 2018. “남북한 통합 형태의 법적 쟁점- 자결권을 중심으로 -.” 『통일과 법률』 35: 103-123.
 

3) 정대진, 정일영. 2018. “지방정부 남북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연구.” 『통일연구』 22(1): 109-141.
 

4) 정대진, 정일영. 2017. “남북합의서 이행의 한계와 대안의 모색-5.24조치와 『남북관계발전에관한법률』 제23조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21(1): 151-177.


5) 정대진. 2015. “한반도 유사시 자결권 행사와 통일국가 건설.” 『외법논집』 39(1): 105-122.
 

​그 외 다수

w.png

Research

6

한기호

1) 한기호. 2020. “한미동맹이 남북한 라이벌리(rivalry)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숙적 이론과 동맹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과학연구』 39(2): 293-337.


2) 한기호. 2020. “북한 개발협력에 관한 연구경향과 대안이론 검토- 법사회학 이론을 중심으로 -.” 『입법학연구』 17(2): 247-269.


3) 한기호. 2020. “지속가능한 남북한 인도주의 협력을 위한 제도적 연구.” 『법제연구』 58: 147-182.
 

4) 한기호. 2019. “남북한 체제통합을 위한 기능주의 대북정책의 재고찰.” 『통일연구』 23(1): 5-41.


5) 유재광, 한기호. 2018. “The Perpetuated Hostility in the Inter-Korean Rivalry: A Theory of Multilevel Veto Players and the Persistence of South-North Korean Rivalry, 1954-2007.” 『Korea Observer』 49(2): 239-268.


​그 외 다수

w.png

Research

7

황소희

1) 황소희. 2019. “무엇이 북한의 3대 세습을 가능하게 하는가? : 지도자와 엘리트의 연합 관계를 중심으로.”『사회과학연구』 27(3): 38-69.


2) 황소희, 임지현, 류혜민. 2019. “남북 화폐 공동체에 대한 정치학적 상상 :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남북경협 화폐도입을 중심으로.” 『입법과 정책』11(2): 149-174.


3) 황소희. 2018. “동아시아 지역 공산주의체제 형성 과정에 천주교 단체의 생존 요인 분석 : 중국과 북한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아세아연구』61(4): 59-94.


4)황소희. 2018. “북한 지도자 제거 이후 한반도 불안정성 제고 가능성 고찰 : 해외 참수작전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10(1): 371-400.
 

5) 황소희. 2017. “국제정치가 대북정책에 건네는 대화 : 이익에 대한 논의.” 『입법과 정책』 9(1): 107-130.

w.png

Research

8

최순미

1) 최순미, 이우영. 2019. “한국인의 북한이미지.” 『현대북한연구』 22(2): 87-121.


2) 최순미. 2017. “마음의 통합을 위한 남북한 주민 의식 비교: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21(1): 203-225.


3) 최순미, 강동완. 2017.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와 적응 지원방안.” 『통일연구』 21(1): 179-217.
 

4) 최순미. 2017. “마음의 통합을 위한 남북한주민 가치관 비교: 물질-탈물질주의 가치를 중심으로.” 『현대북한연구』 20(1): 219-249.


5) 최순미. 2016. “북한이탈주민의대한민국국가이미지분석.” 『평화학연구』 17(3): 45-66.


​그 외 다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