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1권 1호_최현아, 젤리거 베른하르트_ 북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방안 -유럽연합(EU)지원 사업이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21권 1호_최현아, 젤리거 베른하르트_ 북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방안 -유럽연합(EU)지원 사업이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초록 보기

북한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과 관련 지식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최근 생물다양성, 습지 보호, 지속가능한 산림관리와 임농복합경영 등 특정 환경문제에 관해 관심을 두고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연합의 지원을 받아 북한 현지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 현황과 지원성과를 분석하여 향후 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북한은 농업 및 생명과학 국제센터의 식물보호 역량강화,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의 유기농업 발전지원을 위한 유기농업관련 지식 보급, 한스 자이델 재단의 농촌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조림 프로젝트를 포함한 소규모 시범사업을 유럽연합의 지원으로 진행 중 이다. 유럽연합이 지원하는 프로젝트는 북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국외연수를 포함한 세미나, 워크숍 등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트의 성과가 지역 주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생활환경 개선 사업이 함께 진행되고 있다. 향후 대북지원이 시작된다면 역량강화 프로그램과 함께 소규모 사업을 다자간 지원방식으로 진행해야 한다.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lacks both technical capacity and knowledge to survey environmental problems. Recently the DPRK has been opening up to the certa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biodiversity, wetland protection,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agoforestry. In this study we analyzed recent DPRK`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for developing technical capacity supported by European Union (EU). DPRK started small-scale pilot projects with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Centre for Agriculture and Bioscience International for building plant protection capacity, International Federation of Organic Agriculture Movements for building capacity for organic agriculture development, Hanns Seidel Foundation for improvement of rural living conditions through healthy forest. The EU funded projects have got achievements such as the way to improve the capacity of experts in DPRK. The experts have raised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The inhabitants also have benefited from improved living condition. The new project for DPRK needs to organize small scale project and capacity building combined with multilateral support.


첨부 [1]

02. 47-73p_최현아, 젤리거 베른하르트
.pdf
Download PDF • 606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