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3권 1호_천자현_지방분권화 시대의 한중일 협력과 지방정부 간 교류

23권 1호_천자현_지방분권화 시대의 한중일 협력과 지방정부 간 교류


초록 보기


동북아 지역의 한중일 3국 협력은 경제적, 지리적, 정치적 이유로 명백한 협력의 필요성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중일 3국은 오래된 과거사 문제, 민족주의, 영토 분쟁 등으로 인해 갈등과 불신의 역사 역시 공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중일 3국 정부는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 구상과 비전을 통해 노력해왔는데, 본 논문은 그 동안 한국정부의 3국 협력 및 지역 협력에 대한 노력과 역할, 변화를 검토하고 평가한다. 그리고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협력의 한계를 지적하고 최근 한중일 3국의 지방분권화라는 국내정치 변화 흐름에 따라 지방정부간 국제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음을 ‘동북아자치단체연합(The Association of North East Asia Regional Government, NEAR)’, ‘한중일 지방정부 교류회의’, ‘동아시아경제교류추진기구(The Organization for the East Asia Economic Development)’를 통해 보여준다. 지방분권화 시대의 지방정부 간 교류를 분석하여 동북아 지역 협력의 대안을 모색한다.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s apparently necessary due to economic, geographical, and political reasons. Nonetheless, South Korea, China, and Japan share conflict and distrust among them due to their past history, nationalism, and territorial disputes. However, these countries have been making continual efforts through various regional plans and visions to maintain cordial relationships and promote cooperation among them. The present study reviewed and evaluated the efforts and roles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strengthen cooperation among the three countries and various district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the limitations in strengthening cooper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It also showed the gradual stimulation in international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due to recent domestic political changes in these countries through “The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Regional Government (NEAR),” “Korea-China-Japan Local Government Exchange Meeting,” and “The Organization for the East Asia Economic Development.” Alternative options were sought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by analyzing exchanges among local governments.


첨부 [1]


2019년 23권 1호, 지방분권화 시대의
Download • 843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