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2권 2호_ 차두현_'선군정치'시대의 북한 권력구도와 정치변동 가능성

2008년 12권 2호. '선군정치'시대의 북한 권력구도와 정치변동 가능성 _ 차두현


초록 보기

There has been a debate on Kim Join-Il`s disorder since September 9 2008 when he was absent from North Korea`s 60th anniversary ceremony. This debate, however, raises more fundamental questions than the possibility of Kim Jong-Il`s disorder itself: Could Kim Jong-Il`s personal trouble really invite serious political instability in North Korea? What is the implication of ``contingency``-such as implosion and/or explosion -of North Korea? Which political system and power structure would North Korea establish after Kim Jong-Il? First and foremos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Kim Jong-Il`s personal trouble or death is not the trigger of abrupt political change in North Korea by itself, but an accident. Post-Kim Jong Il era would involve more possibility of profound political change than current stage, given the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n politics-unadaptable political system made from long-standing dictatorship, distorted party-military relation under the ``Military-first policy``, and sustaining economic difficult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Military-first policy`` has given a safety belt to North Korea that can prevent the abrupt power vacuum. So the ``contingency`` of North Korea needs to be managed as a mid-/long-term ``process`` rather than short-term accident such as Kim Jong Il`s disorder. We should also review some conventional thoughts on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politics: The nonexistence of designated successor amplifies latent risk in North Korea. The future of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depends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specific political leader. Although the ``Military-first policy`` has distorted traditional party-military relations, it has also contributed to institutionalize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By that reason, North Korean might restore political stability in some cases even after Kim Jong-Il`s death regardless the specific political leader. It is also important for South Korea to prepar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North Korean contingency. If the contingency of North Korea would once break out and the involvement/interven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t would better to cooperate with them(especially with the U.S.) for sharing information and diplomatic/military resources.

첨부 [1]

148
. 2008년12권2호_'선군정치'시대의북한권력구도와정치변동가능성_
2008년12권2호_'선군정치'시대의북한권력구도와정치변동가능성_ 다운로드 • 1.89M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