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4권 1호_ 이수석_ 김정일 후계구도와 북한체제 전망

2010년 14권 1호. 김정일 후계구도와 북한체제 전망 _ 이수석


초록 보기

북한에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구도에 관해 은유적인 표현을 사용하기 때문에 후계구도와 관련된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더구나 김정일의 후계구도는 북한의 권력 핵심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드러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국내외 북한 전문가들은 북한 언론보도나 문건에서 나타나는 표현들을 예의주시하면서 분석할 수밖에 없다. 한국에서 김정일 후계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지난 2002년에 발생했다. 2002년 8월 당시 북한에서 김정일의 2남인 김정철과 3남인 김정은의 생모인 고영희를 우상화하는 문헌이 나와 김정일의 후계문제에 관한 관심을 촉발시켰다. 그러나 고영희 사망 이후 후계문제는 수면 아래로 잠복했다. 최근 북한내 후계구도와 관련되어 현저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2008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뇌졸중으로 쓰러지기 전에는 후계문제에 대해 별다른 징후가 보이지 않았던 북한이 김정일의 와병이후 3대세습이라는 전례 없는 권력구도 개편을 빠른 속도로 진행하고 있다. 이 논문은 먼저 북한의 후계자론을 살펴본 후, 북한내에서 나타났던 후계관련 표현들을 중심으로 북한내부에서 후계체제 구축이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가를 살펴보겠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포스트 김정일 시대 북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검토해보겠다.

In describing Kim Jong Il`s plan for power succession, North Korea has always used metaphorical expressions that are difficult to interpret. Moreover,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before the plan-created by the core group of the leadership-is revealed to the public. Therefore, all international and domestic North Korea specialists can do is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expressions used in North Korean media reports or documents, and analyze them as well as they can. South Korea`s interest in Kim Jong Il`s power succession began in August, 2002, when a North Korean document idolizing Ko Young Hee, the biological mother of Kim`s second and third son, Jong Cheol and Jong Un, came to light. After Ko`s death, however, North Korea did not show much action regarding power succession. North Korea`s reorganization of power structure began only after Kim Jong Il was reported to have collapsed. After Kim was reported ill, North Korea has shown significant movements for power succession. This paper looks at North Korean power succession discourses and discusses the current state of power succession in North Korea by analyzing the expressions North Korea used. Based on this, the paper also suggests what could happen in post-Kim Jong Il North Korea.

첨부 [1]

159. 2010년14권1호.김정일후계구도와북한체제전망_이수석
.pdf
PDF 다운로드 • 585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