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4권 2호_윤덕룡_Inter-Korean Relations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2010년 14권 2호.Inter-Korean Relations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_윤덕룡


초록 보기

김대중 정부의 출범이후 한국은 10여 년간 "햇볕정책"으로 불리우는 대북 포용정책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남북경제협력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였다. 인적 교류도 증가하였으며 남북한간 물리적인 충돌도 확연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동서독간 포용정책인 "신동방정책"에 비하여 한국의 포용정책은 한반도의 평화를 보장하지 못했다. 북한은 남북간 경제교류의 확대를 추진하면서도 한편으로 핵무기를 개발하고 미사일 발사를 여러 차례 감행하였다. 심지어는 서해상에서 군사적 충돌도 서슴지 않았다. 이러한 북한의 변하지 않은 공격적 자세는 한국정부로 하여금 대북포용정책을 위한 국민들의 지지를 받을 수 없는 환경을 조성했다. 그 결과 이명박 정부는 대북 포용정책을 사실상 중단하게 된다. 한국의 대북 포용정책이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킬 수 있다면 그 가치는 한국이 지불하는 경제적 비용보다 훨씬 큰 다양한 이익을 가져올 것이 틀림없다. 평화적인 삶이라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이득 외에도 남북한을 비롯하여 주변국 및 관련국 모두에게 거대한 경제적 이익까지 가져올 수 있다. 정치경제적 리스크 감소와 지역통합의 가속화 등이 새로운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대북 포용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전제가 충족되어야 한다. 상호성의 원칙을 적용하여 경제적 지원이 북한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어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원칙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 또한 경제적 지원이 북한내의 무력강화에 사용되지 않고 남한에 대한 물리적 공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통제하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북한에 대한 한국의 물리적 통제가 어렵기 때문에 결국 한국의 대북포용정책은 6자회담과 같은 국제적 협의구조와 연계해야 성공이 가능할 것이다.

South Korea has begun with active engagement policy, so-called Sunshine policy aiming at introduc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officially under the Kim Dae Jung government. Since 1998,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has expanded rapidly. South Korea has been spending contribution for peace with specific objective to change paradigm of inter-Korean relations from confrontation to peace. But it seems to have failed to guarante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North Korea has made nuclear tests and launched missiles. The North has even continued military provocations. For South Korea, peace contribution is worth spending to stabilize peace and to increase economic benefit for itself and Northeast Asian region. To realize these potential benefits from the inter-Korean economic relations, the economic exchanges should be based on necessary principle such as reciprocity. There should be also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control North Korea`s military expansion. Missiles and nuclear weapons would threaten not only the peace of Korean peninsula but also the regional security system. Six party dialogues should be able to control North Korea`s further nuclear armament as well as the military provocations against South Korea. These are the necessary preconditions to use inter-Korean economic relations as an instrument to stabilize peace in this region. The conditions imply South Korea`s engagement policy can succeed in stabilizing peace in this region, only if the policy would be coordinated with international framework such as 6-party dialogue.


첨부 [1]


164. 03[1].윤덕룡(59_)
.pdf
Download PDF • 524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