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권 1호_김미연_북한 신년사의 언어체계 분석(1995-2015)

2015년 19권 1호, 북한 신년사의 언어체계 분석(1995-2015)_김미연


초록 보기


이 글은 북한 신년사의 언어체계를 분석한 글이다. 북한은 매년 신년사를 통해 한 해의 정책 방향과 목표를 제시한다. 이런 점에서 신년사는 당해 년도 북한의 정책을 분석하는 텍스트로 활용되었다. 이 글은 신년사가 신뢰 가능한 언어행위인가를 고찰하고 통일 및 남북관계 부문 신년사에 담긴 시기별 내용의 변화와 영향 요인 검토를 통해 신년사가 대남정책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언어학자 오스틴(J. L. Austin)의 언어행위이론 중에서 ‘6가지 수행적 발화 요건’을 토대로 신년사의 발화문을 분석하였다. 특히 신년사의 신뢰성에 대한 언어행위적 특성을 중심으로 언어행위가 지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년사의 발화문은 수행적 발화 요건을 갖춘 언어체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년사는 북한 주민들을 포섭하는 지배이데올로기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계량적 행위적으로 밝혔다. 신년사에서 다뤄지는 남북관계 부문은 발화문의 내용과 관계된 외부 행위자(미국, 남한 정부)의 행동 변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이는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반영을 고려한 언어 행위였다. 한편, 북미관계는 북한의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요인인 동시에 북한이 남한의 대북정책 추진의 자율성 정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신년사에 제시되는 내용은 제한적이다. 정책 목표와 범위가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실행보다는 방향성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북한의 정책 기본 방향을 살필 수 있다. 나아가 발화 내용이 발화 수용자의 반응에 따라서 구체적인 관계변화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신년사 언어 체계 분석을 통해 실효성 있는 대북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할 가능성도 높일 수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language system of the New Year’s Address of North Korea. North Korea presents policy direction and goal of the year through the New Year’s Address. In this sense, the New Year’s Address has been used to analyze that year’s policy. This thesis analyzes the annual message focused on inter-Korean relations in order to construe North Korea’s policy composition. The New Year’s Address is analyzed based on a linguist J.L Austin’s ‘6 conditions for performative speech’from his Speech act theory. Especially, it analyzes the influences of speech act focusing on languag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bout credibility of the New Year’s Address. As a result, it is known that the speech of address is comprised of language system having a condition of performative speech. Also it reveals in a quantitative and performative way that the New Year’s Address works as a dominant ideology nesting North Korean people. The inter-Korean relations part from the New Year’s Address is on purpose of changing behaviors of external actors(U.S, South Korean government) which are also related to the contents. This is a language act considering active reflection of changing circumstances. The North Korea-US relations, which is considered the second factor, affects North Korea to fulfill their utterance and brings certain results that reflect sensitively to South Korea’s autonomy of pushing ahead with inter-Korean policy. The contents of annual message is limited. Since it focuses on direction rather than specific implementation that possesses comprehensive policy goal and realm, it is good to read North Korea’s basic policy direction. Moreover, specific analyzation of annual message rais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establish effective inter-Korean policy because the utterance contents enables specific change in relations according to reaction of audiences.


첨부 [1]


북한신년사의언어체계분석(1995-2015)
.pdf
PDF 다운로드 • 766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