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권 1호_모춘흥_영화에서 재현된 탈북자들의 인정투쟁의 다면성과 조건: <무산일기>와 <댄스타운>을 중심으로

20권 1호_모춘흥_영화에서 재현된 탈북자들의 인정투쟁의 다면성과 조건: <무산일기>와 <댄스타운>을 중심으로


초록 보기

이 글의 목적은 자본주의 남한 사회의 냉혹한 현실 속에서 탈북자들이 벌이는 인정투쟁의 다면성과 이를 제약하는 조건들을 두 편의 독립영화를 통해서 살펴보는데 있다. 이 글에서 분석하고 있는 두 편의 독립영화 < 무산일기 >와 < 댄스타운 >은 탈북자들이 남한 사회의 소수자로서 겪게 되는 엄정한 현실과 고통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안에서 벌어지는 그들의 다면적인 인정투쟁의 모습과 이를 제약하는 남한 사회의 척박한 인정의 토대가 담겨있다. 두 편의 영화에서 재현된 탈북자들의 인정투쟁은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층위에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 또한 상이했다. 보다 흥미로운 사실은, 남한 사회에서 벌어지는 탈북자들의 인정투쟁이 때에 따라 남한 사회의 지배질서를 강화하기 위한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글에서는 남한 사회에서 탈북자들의 인정투쟁의 다면성과 이를 제약하는 정치적, 문화적 외부 조건을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문화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남한 사회가 탈북자를 포함한 소수자를 대하는 인정의 토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North Koreans refugees who have crossed the border and headed to South Korea has only increased for the last couple of decades. This paper will examine how those North Koreans refugees settle down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It intends to understand the complex conditions behind which North Koreans refugees as a minority struggle for recognition from the mainstream South Korean society. To do this,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ir struggles for recognition in two recent independent movies < The Journals of Musan > and < Dance Town >. Many North Koreans refugees in South Korea tend to confront harsh and sometimes painful reality that the late capitalist South Korean society has to offer. This paper argues that through two movies, we can understand better the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conditions of North Korean refugees’ struggle for recognition, which takes place in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phases. This paper will also maintain that North Koreans refugees’ struggle for recognition sometimes can be an ideological instrument as it merely serves the reiteration of the existing dominant order in mainstream South Korean society.


첨부 [1]

영화에서재현된탈북자들의인정투쟁의다면성과조건무산일기와댄스타운을중심으로_모춘
Download • 794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