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1권 2호_엄현숙_교원의 역할에 대한 북한의 인식 변화 연구

21권 2호_엄현숙_교원의 역할에 대한 북한의 인식 변화 연구


초록 보기

북한에서 교원은 ‘직업적 혁명가’이며 학생들을 혁명의 계승자로 키우는 것을 사명으로 한다. 북한의 경우 교원의 역할은 시기별 국가의 교육정책에 따라 규정되었다. 교원의 역할은 ‘어머니’, ‘원예사’였으며 이후 교수의 ‘조정자’, ‘조직자’로 2014년 교수의 ‘연출가’ 등으로 변화되었다. ‘어머니’론과 ‘원예사’론은 ‘직업적 혁명가’로서 사회를 발전시켜 나갈 후속세대를 양성하는 교원의 역할 수행을 강조한 것이다. 반면에 ‘조정자’, ‘조직자’ 나아가서 ‘연출가’론은 수업 자체를 중시하거나 수업의 질 향상을 주된 목적으로 교원의 역할을 강조한다. 2015년 새롭게 채택된 ‘교원법’은 북한에서 교원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학생들의 학습능력, 지적능력 개발에 따른 교원의 책임성과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Teachers in North Korea are ‘professional revolutionists’ and their missions are to help students to become successors of revolution. The representative role of teachers is ‘mother’ and ‘gardener’ and it has been assigned to new roles of ‘coordinator’, ‘organizer’ and ‘producer’ of teaching in 21st century. With theory of ‘mother’, ‘gardener’ is to emphasize its basic role of ideological functions in education. This helps teachers to give a blood relative love, honor and pride on their profession and responsibilities. There are features that newly imposed ‘Producer’ theory of teaching is offered as an alternative of traditional role of North Korean teachers. It is meaningful that ‘Producer’ theory of teacher is focusing on acceptance attitude of learner in North Korea and is trying to deviate from existing teachers’ oriented thoughts. Through the newly adopted ‘teacher law’ in 2015, we can see that North Korea is interested in the role of teachers.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teachers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intellectual ability have become more important.


첨부 [1]

2017년 21권 2호, 교원의 역할에 대한 북한의 인식 변화 연구_엄현
Download • 972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