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3권 2호_박관우,정한범_전망이론의 관점에서 본 북한과 이란의 핵협상 비교


초록 보기

북한과 이란 모두 핵문제로 인해 국제사회로부터 10년 넘게 제재를 받았지만 이란은 핵협상에 합의했고, 북한은 핵개발을 강행했다. 이러한 두 사례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손실의 관점에서 국가들의 행동을 설명하는 ‘전망이론’을 적용하였다. 전망이론에서 지도자는 자신의 준거점을 기준으로 대내외적 상황이 손실영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인식하면 위험을 감수하는 선택(핵개발 지속)을 하고, 자신의 준거점을 기준으로 대내외적 상황이 이익영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인식하면 위험을 회피하는 선택(핵협상에 합의)을 하는 경향이 있다.

북한의 김정은과 이란의 하산 로하니는 ‘오바마 행정부의 대외정책’으로 변화될 상황을 각자의 ‘현재상태(status quo)’ 또는 ‘현자산(current assets)’에 비추어 이에 대한 손실과 이익의 판단 하에 핵개발과 포기라는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각 지도자가 집권하는 시점에서 갖게 된 준거점을 분석한 결과 김정은은 모든 부문에서 높은 준거점을, 로하니는 낮은 준거점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김정은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었고, 국제사회로부터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의지가 강한 반면 로하니는 핵개발 능력이나 보유 의지는 작은 것으로 밝혀졌다. 대외적 상황도 김정은이 집권 초기에는 주변국과의 관계가 회복되고 있었고, 이란은 고강도 제재를 받으면서 경제적으로 고립되어 가고 있었다. 국내 정치, 경제적으로도 김정은은 후계체계가 공고화된 상태였고 경제도 안정되던 시기였다. 반면 로하니는 석유관련 제재로 심각한 경제적 위기에 처해있었고 정치적으로도 불안한 상태에서 집권하였다.

이러한 각자의 준거점을 통해 오바마 행정부의 대외정책에 대한 인식을 달리했고, 그에 따른 위험을 감수 또는 회피하는 행동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및 북한에 대한 오바마의 정책은 ‘아시아 재균형 전략’과 ‘전략적 인내’로 요약할 수 있다. 김정은은 이 정책에 따라 변화되는 대내외적 상황을 손실영역으로 인식하여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 즉, 3,4,5차 핵실험을 감행하였다. 중동 및 이란에 대한 오바마의 정책은 ‘비폭력 다원주의’, ‘유화적인 다자주의 외교’라고 할 수 있다. 로하니는 이 정책에 따라 변화되는 대내외적 상황을 이익영역으로 인식하여 위험을 회피하는 핵협상에 이르게 되었다고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why North Korea and Iran’s nuclear policies were different during the Obama administration. In order to find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we applied the ‘Frontational Theory’ to explain the behavior of countries in crisis, focusing on the problem of loss. Under the framework of the Prospect theory, we analyzed the nuclear policy resulting from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Iran by varying their percept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An analysis of the quasi-basement that each leader had at the time of taking power revealed that Kim Jong Un had high and Rohani had low quasi-base points in all categories. While Kim Jong-un had nuclear weapons and was strongly willing to be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nuclear power, Rohani was found to have little nuclear capability or will to possess them. External circumstances were also recovering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during Kim Jong-un’s reign, while Iran was becoming economically isolated under heavy sanctions. In South Korea, Kim Jong Un was in a period of solidifying his succession system and stabilizing his economy. On the other hand, Rohani was in a serious economic crisis due to oil-related sanctions and came into power politically unstable. Obama’s policy on Asia and North Korea can be summed up as ‘Asia rebalancing strategy’ and ‘strategic patience.’ Kim Jong-un conducted his third, fourth and fifth nuclear tests, recognizing the changing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as a loss zone. Obama’s policies on the Middle East and Iran are ‘nonviolent pluralism’ and ‘pacificatory multilateral diplomacy.’ Rowhani will recognize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under this policy as a domain of interest, leading to a nuclear deal that avoids risk.


첨부 [1]

23권 2호_박관우,정한범_전망이론의 관점에서 본 북한과 이란의 핵협상
다운로드 • 733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