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5권 2호_김종곤_북녘출신자를 향한 혐오 : 탈인간화의 전략과 주체의 (재)배치



초록 (국문)

이 글은 오늘날 북녘출신자를 향한 혐오(표현)을 단지 부도덕하고 범법적인 행위라고 비판하는 것을 넘어 그것이 가능한 본원적인 조건과 그 효과를 탐구하는 데에 주요 목적이 있다. 이에 이 글은 첫째, 북녘출신자에 대한 혐오(표현)은 호명 권력이 이들을 지배의 구조적 관계에 종속/예속시키는 효과를 내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북녘출신자에 대한 호명이 변화해온 역사를 짚어본다. 그리고 이들이 분단 권력과 자본주의적 권력에 의해 처음에는 영웅이었다가 오늘날에는 취약성의 이름으로 호명되는 동시에 탈인간화의 얼굴로 재현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하지만 이것은 남한출신자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 설명이다. 그런 이유로 이 글은 둘째, 북녘출신자들이 어떻게 사회적 관계 속에서 혐오의 대상이 되는지를 ‘망상의 사회적 게임’이라는 은유적 개념에 바탕하여 논의하였다. 무엇보다 그러한 게임이 가능한 것은 분단의 논리를 체화한 동시에 신자유주의적 광풍으로 인해 장소상실의 박탈감을 안고 있는 남한출신자들의 실존적 조건에 연유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북녘출신자는 남녘출신자의 삶을 위태롭게 만들 수 있는 잠재적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몫을 편취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그러한 망상의 사회적 게임이 둘 간의 차이를 지속적으로 도입하고 위계질서를 형성하면서 사회적 위치를 (재)배치한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남한출신자는 북녘출신자와의 차이와 우월한 위치의 확보를 통해 스스로의 동일성을 확인하면서, 그들이 정작 문제를 삼아야 하는 분단과 자본의 지배적 구조에 대해서는 이의를 제기하지 않게 된다. 그렇기에 마지막으로 이 글은 북녘출신자에 대한 혐오(표현)은 단지 특정 그룹을 어떻게 대우하느냐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한국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는 정치·경제·문화의 구조가 지닌 폭력성에 바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폭력성을 은폐/봉합하는 과정 전반을 함축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Abstract (English)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fundamental conditions and their effects that enable hate (speech) toward North Korea migrants today. First,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y of the change in the name of North Korea migrant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hate (speech) for North Korea migrants has the effect of subordinating/subjugating them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domination. And it reveals that they were initially heroes by division power and capitalist power, but today they are called the name of vulnerability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ed as the faces of dehumanization. However, this is a limited explanation in that it did not consider 'social relations' with South Koreans.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secondly discussed how North Korea migrants are subject to hatred in social relations based on the metaphorical concept of 'social game of delusion'. Above all, such games were found to be due to the existential conditions of South Koreans who internalized the logic of division, faced with a neoliberal craze, and had a sense of deprivation of place. North Korea migrants not only pose a potential threat that could jeopardize the lives of South Koreans, but also become targets of defrauding their economic share.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such a social game of delusion continuously introduce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nd (re)arranges its social position while forming a hierarchical order. Ultimately, South Koreans confirm their identity by securing differences from North Korean migrants and superior positions, and do not object to the dominant structure of division and capital that they should actually take issue with.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hate (speech) for North Korea migrants is not limited to the question of how to treat a specific group, but is not only based on the violence of the structure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at dominates Korean society as a whole, but also implies the process of concealing/sealing the violence.




01. 김종곤
.pdf
Download PDF • 697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