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6권 2호_김진환_계급이론으로 바라본 북한사회-이론과 실제의 괴리-



초록

조선노동당은 착취계급이 사라진 북한사회에서 혁명적·선진적인 노동계급이 소자산가 의식이 강한 농민, 자유부동하는 인텔리를 잘 지도하면서 그들의 사상을 집단주의로 개조하고, 협동적 소유를 전인민적 소유로 바꿔내면 계급 없는 사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실제 북한사회의 노동계급은 1980년대까지도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를 극복하지 못했고 1990년대 경제난을 거치면서 결국 군대에게 혁명의 주력이라는 지위를 내어줬다. 경제난 속에서 농민들이 식량을 은닉하고 밀매한 사실로 알 수 있듯이 조선노동당은 농민 혁명화에도 실패했다. 북한사회의 인텔리 역시 조선노동당 계급이론이 말하는 ‘노동계급의 인테리’라기보다는 조선노동당에게 충성하는 인텔리에 가깝다. 이러한 조선노동당 계급이론과 북한사회 실제의 괴리는 북한사회에서 시장화가 진전되면서 더욱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관료, 노동계급, 농민이라는 3대 계급 사이에서 생산수단을 ‘사실상’ 소유한 소고용주가 등장함으로써 자본가계급 소멸론은 설득력을 잃게 됐다. 또한 관료와 소고용주가 후견 관계를 맺음으로써 관료의 계급적 속성이 더 강해지고 있고, 시장화 진전, 조선노동당 농업정책 등의 영향으로 농민의 소자산가 의식은 갈수록 공고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English) The Korean Workers' Party claim that if the revolutionary working class leads the petty-bourgeois-conscious peasants and free-floating intellectuals well, transforms their ideology into collectivism, and converts cooperative ownership into all-people's ownership, North Korean society will become a classless society. However, in reality, the working class of North Korean society did not overcome individualism and selfishness until the 1980s, and eventually gave up the status of the main force of the revolution to the military through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1990s.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peasants hid and smuggled food amid economic hardship, the Korean Workers' Party also failed to revolutionize the peasants. The intelligence of North Korean society is also closer to the intelligence loyal to the Korean Workers' Party rather than the "working-class intelligence" referred to by the class theory of the Korean Workers' Party. The gap between the class theory of the Korean Workers' Party and the reality of North Korean society is growing as marketization progresses in North Korea. Above all, with the advent of small employers who “de facto” owned the means of production, the theory of the annihilation of the bourgeoisie lost its persuasive power. In addition, As bureaucrats and small employers become guardians, the class attribute of the bureaucrats is getting stronger,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armers' awareness of petty bourgeoisie will be strengthened due to the progress of marketiza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agricultural policy of the Korean Workers' Party.





01. 김진환
.pdf
PDF 다운로드 • 872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