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4권 2호_김병로_남북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사회적 환경


초록 (영문)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possible measures for secure domestic social support and public opinion to help establish economic commun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o this end, the paper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realize how vulnerable the divided economy is, and that it is inevitable for the two Koreas cooperate each other. We have to emphasize that, first of all, the South Korean economy in divided situation is doomed to be affected by any of North Korean threats; Secondly,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 a long-term national strategy preparing post-unification era; Thirdly, it is mutually beneficial and complementary exchange in econmic field; And lastly, huge military spending could be diverted to industrial development. We also should remember how much Korea, especially South Korea, has been impoverished by this current divided system. South Korea has been geographically closed up completely like an island, so that closedness and exclusiveness dominate Korean mentality. More than that, the divided system created insecurity and distrust among national people. We need to stress that we should dismantle the divided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social and cultural areas. When we focus on the process of unification, we need to construc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n order to reduce the possible inequalities caused in the process of economic community.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we also need to ensure democratic law and procedures to resolve political and ideological conflicts between the two Koreas. Above all, we should try to resolve antagonistic sentiment and open hostilities which are the most serious impediment in building North-South economic community. By doing these efforts, all in all, it is aimed to expand the national community which is based on shared value of the people, while, at the same time, it is conducive to enhancing understanding of heterogene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4권 2호_김병로_남북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사회적 환경
.pdf
Download PDF • 858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6권 2호_장도환, 이승훈, 임창식, 임정빈_북한의 농산물 무역 및 매체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협력유망품목 발굴에 대한 연구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26권 2호_구본윤, 박성호_김정은 시기 핵전략의 이중성: 확증보복태세와 허세부리기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26권 2호_박상현, 정민경, 박지영_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 모형과 Word2Vec을 이용한 접근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