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18년 11월 15일
[外交部]리커창 총리, 제21회 아세안 +3 정상회의 참석
현지시각 11월 15일 오전,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아세안 +3 정상회의 참석을 위하여 싱가포르에 방문하였다.
2018년 11월 12일
[CNN] 위성 사진이 숨겨진 북 미사일 기지 공개해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가 상업용 위성 사진을 통하여 북한 당국이 신고하지 않은 20곳의 미사일 운용 기지 중 13곳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2018년 11월 7일
[The Washington Post] 트럼프의 대북 외교에 제동 걸려
북미 관계의 회복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임기 중 가장 큰 외교 성과로 평가되어 왔다.
2018년 10월 19일
[The Washington Post] 한미, 북한과의 협상 위해 한미 합동군사훈련 유예
한미 양국이 오는 12월로 예정된 비질런트 에이스 한미 연합 공중훈련을 연기하였다. 이는 비핵화 협상으로 인하여 4번째로 연기되는 한미연합훈련이다.
2018년 10월 11일
[The Guardian] 트럼프, 한국의 대북 제재 완화 조짐에 분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천안함 사건을 계기로 2010년에 시행되었던 대북제재의 해제를 검토 중이라고 밝히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정부의 제재 완화 행보를 비난하였다.
2018년 10월 11일
[New York Post] 폼페이오 "세번째 북미 정상회담은 "곧" 일어날 것" 확신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천안함 사건을 계기로 2010년에 시행되었던 대북제재의 해제를 검토 중이라고 밝히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정부의 제재 완화 행보를 비난하였다.
2018년 9월 30일
[中新社] 이용호 외무상, 북미공동성명을 철저하게 이행하는 것이 한반도 평화와 안전의 관건
이용호 북한 외무상은 9월 29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진행된 유엔총회 일반 토의 연설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서명한 북미공동성명을 이행하는 것이 “한반도 평화와 안전의 관건”이라고 발언하였다.
2018년 9월 27일
[新华社] 트럼프, 비핵화 위한 시간 싸움은 하지 않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 뉴욕 롯데 팰리스 호텔 기자회견에서 “북한 문제 대처에 서두를 필요가 없으며, 북핵 협상 타결에 도달하는데 2년, 3년이 걸리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시간 싸움은 하지 않겠다.”고 발언하였다.
2018년 9월 26일
[The Wall Street Journal] 트럼프, 북한 비핵화 시한 철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에 신속한 핵무기 해체를 요구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2차 북미정상회담 계획이 진전되었다.
2018년 9월 19일
[CNN] 북한의 제스처에 대하여 트럼프 대통령은 극찬하였으나, 연방의원들은 경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차 남북 정상회담이 비핵화를 향한 실질적인 진전이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평화의 징조를 보였다고 평가하였으나, 연방 의원들과 전문가들은 이에 대한 주의를 촉구하였다.
2018년 9월 18일
[新华社]마자오쉬, 관련국들이 힘을 합쳐 한반도 평화를 추진하기를 희망
마자오쉬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9월 17일 뉴욕 UN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한반도 핵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발언하였다.
2018년 9월 10일
[The Washington Post] 북한, 중국과 미국을 경쟁 구도로 몰고 승자로 부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중국과 미국 지도자를 동시에 만족시켰다.
2018년 9월 10일
[新华社] 리잔수, 북한 건국70주년 행사 참석을 위해 방북
리잔수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은 9월 8일에서 10일까지 사흘 간,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의 특사 자격으로 북한에 방문하였다.
2018년 9월 9일
[外交部] 시진핑, 건국70주년 축하를 위해 김정은과 통화
9월 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 건국 7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통화를 주고받았다.
2018년 9월 6일
[Reuters] 김정은 국무위원장, 비핵화 타임라인 제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임기 내에 비핵화를 실현하겠다는 구체적인 비핵화 타임라인을 제시하였다.
2018년 8월 24일
[The New York Times] 트럼프, 폼페이오에 방북 취소 요청, 진척되지 않는 협상 상태 드러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비핵화 협상에 충분한 진전이 없다는 것을 시인하면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4차 방북을 전격 취소하였다.
2018년 8월 7일
[The Washington Post] 존 볼턴, ‘북한은 여전히 비핵화를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존 볼턴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보좌관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싱가포르 선언을 지켜온 반면 북한은 비핵화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2018년 7월 6일
[The Washington Post] 폼페이오, 평양에서 북한 비핵화 논의 시작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핵 협상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평양에서 북한 고위급 관리를 만났다. 북미 핵 협상은 미국 정보 당국이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의문을 제기한 보고서에 의해 엄중한 감시를 받고 있다.
2018년 7월 2일
[人民网]북한 매체가 중국 공산당의 성취를 높게 평가했다
2018년 7월 1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중국 공산당이 중국 혁명, 건설, 개혁과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지위와 역할을 한 것을 높게 평가하는 기사를 실었다.
2018년 7월 1일
[Time] 존 볼턴, 미국은 북한 핵 프로그램을 1년 내에 폐기할 계획이 있다고 밝혀
존 볼턴 미국 국가 안보 보좌관이 미국 CBS 방송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북한의 핵, 미사일 프로그램을 1년 이내에 폐기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