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6권 1호_함세정_혐오의 시대 통일 의식: 평화통일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초록

이 글은 평화·통일교육 관련 현장 참여자들에 대한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하여 신자유주의적 혐오의 시대 북한과 통일에 부여된 새로운 위치와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사유재산의 보호와 공정한 자유 경쟁을 인류 번영의 중요한 전제로 삼는 신자유주의적 시장중심 논리는 특정한 방식으로 북한과 통일에 대한 이해를 재편한다. ‘선택’과 ‘책임’이 신자유주의적 주체에게 요청되는 자격일 때, 북한은 주체의 자격이 없는 타자로, 대북지원은 북한이 “자초”한 상황에 대한 불공정한 개입으로 이해된다. 글로벌 자본주의의 맥락에서 세계시민사회와 글로벌 시장이 남북관계를 이해하는 상상의 공동체로 등장하지만, 북한은 시장 질서에 자격 없는 주체로 성원권을 가지지 못한다. 관계를 해석하는 맥락이 한반도에서 세계로 확장될 때, 민족주의에 기반한 남북의 필연적인 결합은 약화된다. 한편, 신자유주의 질서는 평화·통일교육 현장에서 경제 논리를 기반으로 통일을 이해하는 방식을 확산시키는 조건을 만든다. 그러나 이는 통일을 사적 이익침해가 예상되는 불합리한 선택지로, 북한을 제한된 자원을 불공정하게 약탈하는 타자로 의미화 할 위험이 있다. 이 글은 신자유주의적 혐오가 분단의 맥락에서 복잡화 되는 양상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English)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newly discovered position and meaning of North Korea and unification in the era of neoliberal hatr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from the field of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The market-oriented logics, which take the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and free and fair competition as principal premise for humankind prosperity, rearrange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and unification in a specific way. In terms of ‘choice and responsibility’, the required qualification of a neoliberal subject, North Korea is understood as an ‘unqualified subject’ and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could be an ‘unfair’ intervention for their “self-inflicted” issue. In the context of global capitalism, world civil society and the global market newely emerged as “imagined communities” to understand inter-Korea relations, in which North Korea does not have membership to belong. Whe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expands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the world, the inevitable bond between the two Koreas based on nationalism is mitigated. On the other hand, the order under neoliberalism shapes the pervasive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based on economic logics in the field of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However, market-centered logics can redefine unification as an unreasonable option that is expected to infringe on the right to private interests, and the idea of North Korea as the "other" that can plunder limited resources.




05 함세정
.pdf
Download PDF • 830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