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9권 2호_ 전우택_통일 연구에 있어 사회정신의학 영역

2005년 9권 2호. 통일 연구에 있어 사회정신의학 영역 _ 전우택


우리 민족의 통일은 남한과 북한을 정치, 경제, 군사적 측면에 서 통일하는 것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질화되어 버린 남북한 사람들의 심리적, 정신적 측면의 통일을 의미하는 사람의 통일까지를 이루지 못한다면, 설사 일시적인 정 치적 통일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할지라도, 다시 있게 될 남북한 출신 사람들 사이의 심각한 갈등은 결국 남북한의 재분단으로 가 게 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동안 이루어 진 많은 통일 논의들이 주로 정치, 경제, 군사, 법, 외교적 측면 에서만 이루어진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그 한계를 넘어서는사람 의 통일을 향한 연구 시도들이 지난 10년간 연세대학교 통일연구 원 사회정신의학적 연구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들 은 정신의학 영역에서는 민성길 교수, 전우택 교수, 그리고 경제 학 영역에서는 윤덕룡 박사가 주축이 되어 이루어져 왔고 조영아, 홍창형, 유시은(유정자), 강성록, 엄진섭, 김경철, 최승주 등 관 련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많은 논문과 6권의 저서가 나왔으며 현재2권의 저서가 준비중에 있다.

그동안 이루어진 사회정신의학 분야의 뭉일 연구는 크게 다음 과 같은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해 본 수 있다. 측 첫째, 탈북자 (새터민) 3읍에 대한 연구, 둘째, 꾹한 사람듬에 대한 이해 연구, 셋째, 외국의 봉인 및 갈등 극복 사례 연구, 넷째, 대규모 난민촌 지원 연구다.

본 균에서논 그 동안 이 영역에서 어민 연구令중이 이루어져 왔 는가룝 정리해 보고 앞으로 어떤 언구1,1-이 이루어져 나가야 할 것 인가룔 생각해 보도룩 한다.


첨부 [1]

116. 2005년9권2호_통일연구에있어사회정신의학영역_전우택
.pdf
Download PDF • 448KB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초록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한 식량지원 감소, 농기자재 공급 부족, 농산물 수출입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난과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남북‧북미관계는 냉각기에 있으나, 향후 개선된다면 농업분야 남북협력사업은 실현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이다. 북한의 낮은 농업생산성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북농업협

초록 이 연구는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북한의 특수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 틀로 김정은 시기 핵전략을 구체화했다. 변수의 핵심은 북한의 위협인식과 전략문화의 반영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핵전략은 평시에는 확증보복태세를, 한·미 연합 군사연습 시기와 같은 위협인식 고조 시 비대칭확전태세의 이중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대한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의 통일 관련 연설문을 분석하여 ‘통일’에 관한 의제가 대통령별로 어떤 맥락과 목적에서 사용되어왔는지를 경험적인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 모형을 사용하여 대통령별로, 남북 주요 합의 시점별로 토픽을 추출하고 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Word2Vec을 사용하여 맥락에 대

bottom of page